2 - 10 최대안전경사각도(最大安全傾斜角道)

가. 자동차의 최대안전경사각도

- 안전기준 제8조(최대안전경사각도)

·공차상태의 자동차(연결장치를 포함한다)는 좌·우 각각 35도(차량 총 중량 차량중량의 1.2배인 자동차인 자동차는 30도) 기울인 상태에서 전복되지 아니하여야 한다.다만,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작업형 특수자동차로서 고소작업·방송중계·진공흡입청소 등의 특정작업을 위한 구조·장치를 갖춘 자동차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측정조건

자동차는 공차상태로 하고 좌석은 정위치에 창유리 등은 닫은 상태로 한다.

⑵ 측정단위는 도(°)로 하고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측정한다.

다. 측정방법

⑴ 경사각도측정기(傾斜角度測定機)를 사용하는 경우

경사각도측정기에 설치된 모든 차륜을 밀착시키고 차륜정대장치 반대측의 모든 차륜이 경사각도측정기의 답판에서 떨어지는 순간 답판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에 대하여 각각 측정한다. 이 경우 공기스프링장치를 가진 자동차에 대하여는 레벨링 밸브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한다.

㈏ 차륜정지장치는 다음 그림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img69.gif

· 차륜정지장치 (a = 75˚± 5˚)

㈐ 경사각도측정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아래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해 무게중심위치, 무게중심높이 및 안전폭을 구해 그들의 값에서 최대안전경사각도를 계산한다.

① 무게중심위치와 무게중심높이

② 수평상태와 경사상태에 대한 접지하중을 측정하여 산출하는 경우

③ 삼륜자동차

 

 

  - 산식 2-1

                             W2

                 L = ---------- L

                              W

- 산식 2-2

                           (Wr2 - Wℓ2)T2

                   M = --------------
                                   2w

- 산식 2-3

                           L(W2' -W2)√ L2 -h2

               H = R + ----------------

                                    W × h

img70.gif

④ 4륜자동차

- 산식 2-5

                        ( Wr1 - Wℓ1 )T1 + ( Wr2  W2 )T2

                 M = --------------------------

                                        2w

 

- 산식 2-6

               

                                   L( W'2  - W2 ) √L2 -h2

                 H = R + -------------------------

                                          w × h

img71.gif

 

 

L°: 자동차를 수평으로 한 경우에 무게중심까지의 자동차중심선방향의 수평거리

M : 자동차를 수평으로 한 경우에 무게중심에서 자동차중심선을 포함한 연직면에 수직한 거리

H : 자동차를 수평으로 한 경우에 기준면에서 무게중심까지의 높이

R : 타이어의 유효반경(전후 타이어의 유효반경이 다를 때는 그 평균치)

L : 제1축에서 최후차축까지의 거리

Tn : 제n축의 윤거. 단, 복륜에 대해서는 외측차륜의 윤거와 내측차륜의 윤거의 평균치

Wrn : 자동차를 수평으로 한 경우의 제n축 우측차륜의 접지하중(복륜의 경우에는 외측차륜과

         내측차륜의 접지하중의 합 또는 동시에 측정한 접지 하중)

Wn : 제n축의 접지하중

Wℓn : 자동차를 수평으로 한 경우에 제n축의 좌측차륜의 접지하중(복륜의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

W : 차량중량

h : 제1축 차륜을 들어올린 경우의 높이

W'n : 제1축 차륜을 h 높이만큼 들어올린 경우의 제n축의 접지하중. 또한, 제1축 차륜을 드는

           것 대신에 제2축을 들어올려 상기의 각 식에 근거를 두고 무게중심위치 및 높이를

           구해도 좋다.

㈑ 경사각도측정기에 의한 경우(경사각도측정기의 측정 가능한 최대 각도가 측정자동차의

    최대 안전검사각도보다 작은 경우) 경사각도측정기의 답판 중간에서 답판의 길이방향과

    자동차중심선이 평행이 되도록 고정한 후 답판을 수평으로 한 경우와 자동차를 축방향의

    같은 높이로 경사지게 한 경우에 각 지점의 하중변화량을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 산출

    한다.

- 산식 2-7

                               W3   +  W3

                     L°=  -------------   ℓ - a

                                     W

 

 

 

img72.gif

- 산식 2-8

                                       W2   +  W4

                   M = b -  -----------------   m


                                             W

 

- 산식 2-9

                                 ( W'2  +  W'4 ) - ( W2   +  W4 )

                   H = --------------------------

                                              W

L°: 자동차를 수평으로 한 경우에 제1축에서 자동차의 무게중심까지의 자동차 중심선방향의

     수평거리

M : 자동차를 수평으로 한 경우에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평면에서 자동차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

H : 자동차를 수평으로 한 경우에 기준면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

ℓ : 경사각도 측정기의 제1지점과 제3지점(제2지점과 제4지점)의 간격

m : 경사각도 측정기의 제1지점과 제2지점(제3지점과 제4지점)의 간격

a : 경사각도 측정기의 답판면에 투영된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자동차 제1축과

     자동차중심선의 교점과의 거리

b : 경사각도 측정기의 답판면에 투영된 제1지점과 제3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자동차 제1축과

     자동차중심선의 교점과의 거리

Wn : 경사각도 측정기의 답판을 수평상태로 하여 자동차를 그 윗면에 올려놓았을 때 발생한

       제n지점의 하중

W'n : 경사각도 측정기의 답판을 경사시킨 상태로 하여 자동차를 그 윗면에 올려놓았을 때

          발생한 제n지점의 하중

W : 차량중량(= W1 + W2 + W3 + W4)

β : 경사각도 측정기의 답판을 경사시킨 각도

t : 경사각도 측정기의 답판 윗면과 아래면과의 수직거리

 

 

⑵ 자동차부분마다의 무게중심위치를 미리 알고 산출하는 경우

자동차를 수평으로 했을 때 제1축은 기준면에 투영한 투영선과의 교점을 원점으로 하여 중심선 방향을 X축, 좌·우측차륜의 방향을 Y축. X, Y축에 수직인 Z축을 잡고 자동차의 각 부분마다 중량과 무게중심의 좌표를 실측 또는 계산으로 구하여 다음 식으로 전체무게중심 위치를 산출한다.

- 산식 2-13

 

                                  Σn ( WnXn )

                                                           n -1

                   LΟ   =   -------------

                                         W

 

- 산식 2-14

                                Σn ( WnYn )

                                                             n -1

                   M =     -------------

                                           W

 

 

- 산식 2-15

                                   Σn ( WnZn )

                                                              n -1

                     H =    --------------
                                          W

또한, 이 방식을 응용하여 자동차의 각륜아래에 중량계를 위치시켜, 답판(踏板)의 길이방향과 자동차의 중심선이 평행이 되도록 고정한 후 답판을 수평으로 한 경우와 자동차를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경우에는 각 지점의 하중변화량을 측정하여 다음 산식에 산출한다.

- 산식 2-16

                                  Wr

                     L○ =  -------   L

                                  W

 

- 산식 2-17

                                 (wfr - wfℓ) T1 + (wrr - wrℓ)T2

                     M = ----------------------------

                                              2 × W

- 산식 2-18

                                              ℓ                         M

                     H = (Fℓ - Fr) (------- )       +    ------

                                       2 × W × sin Ø           tan Ø

 

 

w : 차량중량 wr : 후축중 wfr : 우측 전륜하중

wfℓ: 좌측 전륜하중 wrr : 우측 우륜하중 wrℓ: 좌측 후륜하중

Fr : 경사각 β일 때의 우측륜의 하중 Fℓ: 경사각 β일 때의 좌측륜의 하중

L○: 전축에서 길이 방향으로 중심위치까지의 거리(㎜)  

                                                                       T1  +  T2

L₁: 축거   T₁: 전륜 윤거   T₂: 후륜 윤거    ℓ : -----------

                                                               2

⑶ 안전폭

자동차의 차종 및 구조에 따라 다음의 각 식으로 좌측 및 우측의 안전폭을 계산한다.

㈎ 3륜자동차

img73.gif

㈏ 4륜 이상의 자동차

차륜의 배열 및 구조에 따라 ①∼④에 의해 안전폭에 인한 축간거리 C´ 및 유지 T₁´, T₂´로부터 안전폭을 산출한다.

img74.gif

 

 

① 4륜자동차

img75.gif

② 4륜자동차 (2종타이어)

img76.gif

③ 전 2축차

img77.gif

④ 후2축차 (고정폭의 경우)

img78.gif

 

 

㈐ 폴 트레일러 (POLE - TRAILER)

폴 트레일러는 공차 상태에서 좌·우의 최외측 차륜의 접지면 중심의 간격이 지면으로부터 하대상면까지 높이의 1.3배 이상일 경우에는 최대안전경사각도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라. 최대안전경사각도의 산출

앞에서 서술한 어느 한 방법에 의해 구한 무게중심·높이 및 안전폭에서 다음 각식에 의해 하축 및 우축의 최대안전경사각도를 구한다.

                                                -1  Br  
      산식 2-23    우측 : β =  tan  --------
                                                    H



                                                       -1  Bℓ  
             산식 2-23    좌측 : β =  tan  --------
                                                          H

 

β = 최대안전경사각도(。)

Br = 우측 안정폭

H = 무게중심 높이

Bℓ = 좌측 안정폭 

+++돌아가기+++